새는 날개로 하늘을 날지만, 소년은 천사를 쫓으려는 꿈으로 하늘을 난다. - 빠리소년

'카론'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06.08.27 명왕성 개론? 16
대학교 초학년 때 필수 교양이야 그렇다 치고, 제가 선택했던 선택 교양 과목들은 오지랖 넓은 성품을 반영해서 정말 종잡을 수가 없었던 것 같습니다. 경영학 개론, 문학 개론, 심리학 개론, 등등... 선택 교양만 봐서는 인문 계열인지, 사회 계열인지, 자연 계열인지 알아챌 수가 없었을 겁니다. 호기심은 어느 정도 충족되긴 했지만, 물론, 학점은 힘들었지요 ㅠ.ㅠ

지극히 개인적인 관심에서 들었던 또하나의 수업이 바로 현대 천문학 개론이었습니다. 친구와 선배를 꼬셔서 들었지요. 정말 머리 아프게 하는 리포트와 시험 때문에 욕 두고두고 얻어먹었습니다만...

얼마전 뉴스를 보니 태양계 행성이 12개가 된다고 하더군요.


제가 배울 때 명왕성을 행성으로 인정해야 할 것인지 의심이 간다고 배운 것 같은데, 이렇게 하나, 둘 늘려가면 나중에 몇개가 될 지 고개가 갸우뚱 하기는 했지만, 그렇다고 하니 넘어갔습니다. 역시, 결론은 이렇게 났다지요?


명왕성에 관한 기사를 보고 교양 시간에 사용했던 '교양 천문학'이라는 책을 뒤적이게 되네요. 우연히 발견되고 비운의 퇴출을 당하는 묘한 행성입니다. 이름이 그래서 그런걸까요?

명왕성은 태양계에서 9번째 행성으로 태양에서 40천문단위[각주:1]나 멀리 떨어져 있다. 또한 크기가 대단히 작기 때문에 그의 발견은 대단히 어려웠다. 명왕성은 광범위한 사진탐색 끝에 1930년 미국의 천문학자 톰보우(C. Tombough)에 의해서 발견되었다. 그는 1930년 2월 18일, 당시 로웰이 예언했던 방향에서 7° 쯤 떨어진 곳에서 명왕성을 발견, 이를 3월 13일에 발표하였다. 이 행성은 그후 희랍신화에서 지하세계를 지배하는 신의 이름을 따서 플루토(Pluto)라고 명명되었다.

1846년 해왕성이 발견된 후 금세기(20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해왕성의 관측은 지속되었다. 그런데, 당시 관측된 해왕성의 궤도는 도저히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예측된 궤도로부터 크게 벗어나 있었다. 그 결과 천문학자들은 미지의 9번째 행성 탐색에 나섰던 것이다. 그러나 잘 알고 있는 바와 같이 명왕성은 질량이 너무 작아서 천왕성이나 해왕성에게 섭동을 주기에는 너무나 미약하다. 따라서 명왕성은 발견은 순전히 우연이었다고 할 수밖에 없다. 당시 관측에서 제시됐던 섭동은 실제로 존재한 것이 아니라 관측 여건이 좋지 않기 때문에 발생된 관측 오차였음이 후에 밝혀졌다.

...

명왕성의 둘레에는 카론(Charon)이 공전하고 있다. 카론은 1978년 6월, 미국 해군천문대의 크리스티(Christy)에 의해서 발견되었다. 사진에 나타난 명왕성의 모습은 원형이 아니라 한쪽이 불룩하게 튀어나온 것으로 보이는데, 그렇게 불룩 나온 것이 바로 그는 명왕성의 위성일 것이라고 생각하고 꾸준히 관측자료를 분석해본 결과 자신의 판단이 옳았음을 입증할 수 있었다. 그는 이 위성을 카론이라고 명명하였다.

내막은 자세히 모르지만, 미국에서 행성을 12개로 할 것을 제안했던 속내는 명왕성이 12번째 외곽 행성이 될 수도 있었던 제나보다도 덩치가 작았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위에서 인용했다시피 명왕성은 미국인이 발견했기 때문에 미국 천문학계의 자부심이라고 할 수 있는 행성이죠. 제나를 행성군에 편입시키면서 논란이 되었던 명왕성의 행성으로서의 입지를 확고하게 하고 싶었겠지요. 결과적으로는 긁어 부스럼이 된 듯 합니다만...

아무튼 조금 섭섭합니다. 뭐 이 결정으로 태양계 식구가 아닌건 아니고 왜행성으로 격하된 것이지만, 학생들은 이제 행성 이름을 외울 때 '수금지화목토천해'까지만 외우겠군요. 교과서나 문서, 서적 변경은 물론 문제지만, 로마 신화의 플루토(그리스 신화의 하데스)를 떠올릴 때마다 이 사건이 떠오를 듯 합니다. 물론 세일러문의 플루토도 왕따가 되겠군요 ㅠ.ㅠ

명왕성에서 본 태양계 상상도


아.. 별이나 행성들은 너무 예쁘지 않나요? 천문학은 분명 매력적입니다. Dyno님의 명왕성 안녕...이라는 글에 있는 사진들도 너무 예뻐요. 제 꿈이 한적한 교외에 집 하나 사서 천체 망원경과 사진기를 벗삼는 건데(물론 단순 꿈에 불과할 듯 싶습니다만...). 문득 여전히 별이 하늘 가득 빛나고, 별똥별이 1분에도 몇 개씩 떨어지던 외가가 가고 싶습니다.
  1. 태양-지구거리. 천문단위 또는 Astronomical Unit, 약해서 A.U.라고 한다. 보통 태양계 내의 거리 단위로 사용 [본문으로]

Creative Commons License일부를 제외한 모든 포스트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라이센스를 따릅니다. - 예외의 경우 빠리소년의 공지 참조

,